테드 창,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흠모하는 테드 창 오빠야의 중편이 새로 번역돼서 재빨리 입수했다(출판사도 요즘 그 핫하다는 북스피어).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처음 몇십페이지는 정말 가슴이 둑흔둑흔대서 빨리 읽고 싶으나 줄어드는 페이지가 아깝고 앞의 내용을 다시 한번 더 읽고 싶어서(읽는 와중에도!) 뒤적뒤적대면서 아끼고 아껴 읽었음.
-영화제 기간 중 일반 관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변화는 불가피하며, SF는 좋든 나쁘든 변화한 상태를 살피는 문학”이라고 정의했다.
“변화를 멈추고자 하는 노력은 항상 실패했다. 예를 들어 개인·국가 단위에서 체세포 복제를 막을 수는 있겠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물론 새것이 항상 좋지는 않다. 하지만 우리는 필수불가결한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옛것과 새것 사이에 무엇이 나은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경향신문 인터뷰 중)
테드 창은 여기서 SF란 장르의 특색으로 '시작과는 곳과는 다른 곳에서 결론이 맺어지는 것', 즉 '새로운 기술로 인해 세계는 변화하지만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 것'을 꼽았다. 이는 판타지의 일반적 '패턴'과 다르다. 판타지에선 평화로운 세상을 (부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악의 세력'이 등장하고 주인공이 이에 맞서 승리함으로서 다시 원래의 세상으로 돌아간다. 즉 현상유지란 측면에서 "기존의 것이 좋았다"라는 보수적인 정치 메시지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반면 SF의 패턴은 '익숙한 세상에 새 기술이 나와 세상은 변화하고 그 결과는 좋을 수도 나쁠 수도, 그 두가지가 공존할 수도 있지만, 어쨌듯 과거로는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변화는 불가피한 것이다"라는 진보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는 것. 즉 "SF는 변화의 문학"이라고 강조한다.
(http://blog.ohmynews.com/staright/160563)
테드 창 검색질하다가 나온 인터뷰 중에 이런 내용이 인상이 깊어서 더 자세하게 뭐 없나 해서 영어로 검색을 해보니 긴 인터뷰가 있었다.
I make science fiction my home because it’s been said that a genre is an ongoing conversation, one where novels and stories are responses to previous works. And in that sense, science fiction is a conversation that I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that I want to participate in.
Shortly after teaching Clarion last summer I attended a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in South Korea, where I’d been invited to speak about science fiction. One of the things I talked about was how my sense of science fiction differs from the popular conception of it. I think most people’s ideas of science fiction are formed by Hollywood movies, so they think most science fiction is a special effects-driven story revolving around a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or something along those lines. While I like a story of good versus evil as much as the next guy, I don’t think of that as a science fiction story. You can tell a good-versus-evil story in any time period and in any setting. Setting it in the future and adding robots to it doesn’t make it a science fiction story.
I think science fiction is fundamentally a post-industrial revolution form of storytelling. Some literary critics have noted that the good-versus-evil story follows a pattern where the world starts out as a good place, evil intrudes, the heroes fight and eventually defeat evil, and the world goes back to being a good place. Those critics have said that this is fundamentally a conservative storyline because it’s about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is is a common story pattern in crime fiction, too—there’s some disruption to the order, but eventually order is restored.
Science fiction offers a different kind of story, a story where the world starts out as recognizable and familiar but is disrupted or changed by some new discovery or technology. At the end of the story, the world is changed permanently. The original condition is never restored. And so in this sense, this story pattern is progressive because its underlying message is not that you should maintain the status quo, but that change is inevitable. The consequences of this new discovery or technology—whether they’re positive or negative—are here to stay and we’ll have to deal with them.
This is a quintessentially science fiction storyline and it makes sense only in the wak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a pre-industrial society, this kind of story would be incomprehensible, because no one had ever seen the world change in their lifetim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e understand this story because we’ve all seen the world change. That’s what I think is at the heart of science fiction and what I usually tell people who aren’t familiar with it, whose ideas are mostly informed by Hollywood.
안 귀찮으면 번역을 해놓겠음. 혜리 언니 영화의 일기에 "휴가에 할 일에 OOO번역을 추가했다"는 문장을 보고는 또 역시 언니는 무용한 일을 참 잘해. 라며 감탄했사옵니다.
그러타 나의 올해 목표는 무용한 일을 많이 하는 것이다!
정작 책 내용에 대해선 그다지 코멘트할 것이 없고, 여러번 읽어도 충분히 좋을 책이다. 사실 장르문학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좋아하는 SF 작가라고는 테드 창과 배명훈 정도가 다이지만 벌써 홀라당 넘어가서는, '장르문학'이라는 꼬리표에 붙는 소위 순문학 애호가들의 의심스러운 눈길따윈 콧방귀로 물리칠 준비가 되었다! (읭?)